목록Network (4)
정리
 [L2] CSMA/CD 와 Collision domain (HUB와Switch 차이점?)
      
      
        [L2] CSMA/CD 와 Collision domain (HUB와Switch 차이점?)
        소개 L2 스위칭 기술을 공부하기 앞서 L2의 시초가 되는 부분의 대해서 설명 하고자 한다 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Collision Detect) 과거의 Ethernet 통신 에서는 매체 공유 방식을 사용 하였는데, 위 그림과 같이 매체 (당시에는 Repeater, 동축 Cable )를 여러 사용자가 공유 하여 통신 하는 방식이다. 이런 매체 공유 방식은 여러 사용자가 동시의 데이터를 전송 할때 충돌(Collision) 이 발생하게 되어 전송 되는 데이터가 유실 되는 문제가 발생 하였다. 이런 충돌 되는 문제를 방지 하고자 고안 된 프로토콜이 CSMA/CD 이다. CSMA/CD 동작 방식 1. 데이터(Carrier) 를 전송 중 충돌 감지 시 데이터 전송..
Subnet Mask 서브넷 마스크는 주어진 IP 주소를 네트워크 환경에 맞게 분할하는 논리적인 수단 CIDR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클래스 없는 도메인간 라우팅 기법 으로 1993년 도입되기 시작한 최신의 IP 주소 할당 방식. 초창기에는 IP를 Class 별로 할당 하는 방식이다 보니, 실제 기업에 IP를 할당 할때 사용 인원 보다 불필요하게 많이 제공하여 IP 고갈 문제가 발생 하게 되었다. 이로인해 해결책으로 나온게 Subnet Mask, CIDR 개념과 NAT(PAT) 라는 기술로 인해 IP 고갈 문제를 상당 부분 해소 할수 있게 되었다. CIDR 표기법 (Prifix) Subnet MASK 사용 가능한 IP 수 Host IP 수 /1 128.0.0.0 214..
 [Network] 대역폭(bandwidth)과 속도 이야기
      
      
        [Network] 대역폭(bandwidth)과 속도 이야기
        대역폭(bandwidth) 특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주파수의 범위로, 헤르츠(Hz) 단위로 측정된다. 헤르츠(Hz) 단위의 대역폭은 전자, 정보 이론, 디지털 통신, 무선 통신, 신호 처리, 분광학 등 많은 분야에서 중심적인 개념으로 사용되며, 통신 채널에 주어지는 용량의 결정적 요인 중 하나이다. 전송 매체 대역폭(bandwidth) 간단하게 디지털 통신에 대해서 알아야 하는데 디지털 신호는 데이터를 이산(2개)의 값으로 표현하기 위해 주파수가 있는 교류(Alternate Current) 파형을 사용하며 위와 같은 형태를 가지게 된다. 교류 파형에서 반복되는 하나의 패턴을 주기(Period)라고 하는데 (Cycle 이라고도함) 1초 동안 주기가 몇번 반복 되는지에 따라 Hz로 표현 하게 된다. -..
 [Network]  데이터의 단위 이야기(bit,Byte)
      
      
        [Network]  데이터의 단위 이야기(bit,Byte)
        데이터의 단위 bit 흔히 컴퓨터는 0과 1밖에 모르는 바보다 라는 말을 들어 보셨을 겁니다. Binary Degit 의 약자로 2진수를 표현한 표현한 데이터 최소 단위 입니다. Byte 1 bit로는 0또는 1이라는 2가지 데이터(정보)를 표현만 가능하여 한계가 있어, 더 많은 데이터(정보)를 표현하고자, 이를 일정한 크기로 그룹화 하여 만들어 진게 지금의 byte의 초기 모델 입니다. 초기에는 컴퓨터 마다 1byte 크기(bit) 수가 달랐고, 지금의 1Byte인 8bit 묶음을 가리키는 옥텟(Octet) 이라는 단어가 따로 있었습니다. ASCII 코드 영문과 숫자 특수문자만 표현 되면 됐기 때문에 7bit + 1 Paritty Bit(패리티 비트 *오류 검출*)를 1 byte 를 사용하면서 영향도 ..
